1864∼1869년 작품. 전 4편과 에필로그로 되어 있다. 전반에는 중심인물인 귀족들의 생활과 국외에서의 전투, 후반에서는 국내에서의 전투와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사상적 문제가 다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역사소설과 예술소설의 훌륭한 융합이다. 우선 러시아 건국 이래의 일대 역사적 사건인 1812년 전쟁을, 아우스터리츠·볼로디노·셴그라벤 등 각지의 주요 전투를 비롯하여 모스크바 소실(燒失), 프랑스군 퇴각에 이르기까지를 상세하고도 높은 예술성과 명확성으로써 묘사하여 단순한 역사소설로서도 러시아 문학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에서 최고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작자는 개인의 무력(無力)을 강조하는 독자적 숙명론을 사관(史觀)의 밑바닥에 깔고 있으며, '검의 영웅' 나폴레옹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그와 대조시켜 플라톤 카라타예프라는 한낱 농부를 '정신적 영웅'으로서 찬양한다. 등장인물은 수백 명을 헤아리는데 그들은 나폴레옹(惡)과 카라타예프(善)를 양극으로 하여 그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술소설로서 볼 때 작가는 여기에 보르콘스키와 로스토프 양가의 귀족을 중심으로 각각 작가가 사랑하는 인물들을 등장시켜 각자의 슬픔·기쁨·고민 등 많은 생활을 통하여 유례없는 가정소설적인 요소를 짜넣음으로써 이것이 이 소설로 하여금 한낱 역사소설의 영역을 넘어서 세계 최고의 고전적 지위를 점하게 하였다.

안드레이 공작과 피에르 베즈호프와는 특히 중요한 주인공들이다. 명예욕이 강하고 현실적이어서 전형적인 귀족 인텔리겐치아인 안드레이 공작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부상한 뒤로 삶의 허무감에 사로잡혀 현실생활에서 후퇴하였다가 마침내 죽는다. 소냐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하여 피에르 베즈호프는 많은 곤란과 모색 끝에 인생의 목적은 사는 데 있다는 삶의 철학을 깨닫고, 역시 삶의 화신같이 발랄한 나타샤와 함께 새생활의 길을 떠난다.

이는 작가 톨스토이의 신혼 당시의 밝은 '옵티미즘(낙천주의)'의 반영이다. 안드레이 공작이 작가가 제시한 '삶'이란 과제에 대해 명백하게 부정적인 해답을 내려 '마이너스' 방향으로 간 탓으로 멸망한 데 대하여, 피에르는 긍정적인 해답을 내려 '플러스'를 향한 일보를 크게 내디뎠기 때문에 행복한 새생활을 얻을 수 있었다. 처참한 전쟁을 그려 가면서도 작품에서 의외로 밝은 청춘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
성북경찰서 본부신병일때 짬내서 2주간 읽었다..
난원래 현대소설이나 근대소설의경우 대작이 아니고는 읽지
않는다 누가 지어낸이야기라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있기에
책에 몰입할수가 없어서 그렇다. 그런데 또 판타지나 무협지등 sf 소설은 좋아한다 개인취향이려니 생각한다

음 전쟁과평화는 아마 내 생에에 지금이 가장 읽기 좋은 시기가 아니었나 싶다 여러가지 생각과 사고가 교차하고 또한번의 가치관과 인생관에대해 넓은 생각을  할수있게 해주었다

특히 주인공들의 행복추구에 대한 수많은 사색은 잠시도 책에서 눈을 떼지못하게한다 대문호의 톨스토이의 인생관이 그대로 녹아들어간 소설이다... 소설은 비록 안드레이가 죽고
생기있는삶에서 목적을느끼는 피엘의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안드레이의 사고에서 많은 동감을 느꼈다
정말 추천할만한책. 시간나면 다시 한번 읽어야겠다.

단점은... 장편소설이라.. 시간이 좀있어야한다는것^^
2004/07/15 20:31 2004/07/15 20:31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majejoa.byus.net/blog/trackback/265

::: 사람과 사람의 교감! 人터넷의 첫 시작! 댓글을 달아주세요! :::